카테고리 없음

구절초(九節草)가 꽃필 때.

松隱 유수(종). 2021. 6. 21. 19:02

구절초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구일초(九日草), 선모초(仙母草)라고도 한다.

학명은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이다.

구절초는 "음력 99일 채취하여 약으로 쓰면 효과가 좋다." 는 유래에서 이름 한다.

 

구철초는 여자들 몸을 따뜻하게 해 주는 효능이 있어

민간에서는 당귀만큼 귀한 약재로 쓰인다.

구절초와 비슷한 산구절초, 바위구절초 등도 민간약재로 같이 쓴다

 

구절초 전초는 폐렴, 기관지염, 기침감기, 인두염, 두통, 고혈압,

월경불순, 자궁냉증, 불임증 등의 부인병에 약용하며

소화불량, 위장질환에도 써왔다.

 

여자들의 생리가 불규칙하거나 생리량이 고르지 못할 때는

구절초와 당귀, 천궁, 귤피, 향부자, , 익모초를 같은 분량으로 취하고,

말린 생강과 대추, 감초를 넣어 푹 고아서 마신다.

만약 생리과다, 부정출혈이 수시로 나타날 때는

구절초에 쑥, 당귀, 천궁과 함께 아교를 넣어 고아서 마신다.

당나귀 껍대기모 만든 아교가 좋다.

 

(사진) 경상도 낙동구절초.

 

(사진) 황해도 서흥구절초.

 

(사진) 강원도 곰배령 고산구절초(흰꽃).

 

(사진) 강원도 곰배령 고산구절초(붉은꽃).

 

(사진) 강원도 설악산 산구절초.

 

(사진) 경기도 포천구절초.

 

(사진) 제주도 한라구절초

 

(사진) 백두산 천지 바위구절초.

 

(사진) 서양구절초(캐모마일)

 

 

한반도 토종 구절초는 음력 9월 경에 꽃이 핀다.

서양구절초 캐모마일은 양력 6월 경에 꽃이 핀다.

 

구절초 꽃이 필 무렵 잃어버린 첫사랑이 생각난다.

빨리 가버린 그녀를 "구절초 사랑"이라 한다. 

 

(사진) 구절초와 함께 가버린 여인(구절초 사랑).

 

<미안합니다><고맙습니다><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