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대륙신라>가 있었을까 ?

松隱 유수(종). 2023. 2. 3. 14:29

 

삼국통일을 이룩한 신라 30대 문무태왕릉 비문에,

자신은 <투후(秺侯)>의 후손이고,

신라 태조는 자신의 15대조 <성한왕(星漢王)>이라 쓰여 있다.

 

또 신라 33대 성덕대왕릉 비문과 김인문의 묘비에도 <성한왕>이

신라 태조라고 쓰여 있다.

 

또한 당나라에 살았던 신라인 김씨부인의 업적을 기리는

'대당고김씨부인묘명'에도

신라 김씨의 뿌리가 투후 '김일제'라고 기록되어 있다.

 

도대체, 투후(秺侯)가 누구인가?

어쩌서 신라 태조가 성한왕(星漢王)이란 말인가?

한국사에서 신라 시조는 '박혁거세'로 배웠건만~

어찌된 일인가?

 

<투후>는 한 나라 시대에 살았던

훈족(匈奴族) 왕자 김일제(金日磾, BC.134년~86년) 였다.

 

본래 훈족(흉노족;스키타이족)은

<단군조선>을 구성한 늑대(이리)토템을 가진 부족으로써,

온돌(구들)을 가진 기마민족 <북부여>를 이룩한

<단군조선>의 한 부족이기도 하다.

 

김일제(金日磾)는 기마민족 훈족(흉노족) 부여국 휴저왕(休屠王)

태자로 태어났다.

14살 때, 한 나라의 이의제이(異議制夷) 술첵으로

부왕 휴저왕(休屠王)이 동생에게 죽임을 당하자,

흉노국은 혼란(내란)이 발생했고

결국 한 나라에게 망했다.

 

그는 한 나라 포로로 끌려와

용감하게 장성해 우연히 '한 무제'의 목숨을 구하게 된다.

 

똑똑하고 성실한 김일제를 본 '한 무제'는 

김씨(金氏)성을 하사하고

공주와 혼인시켜 부마(附馬)로 삼고 투후(秺侯) 작위까지 주었다.

 

한(漢)나라 말기에

여기저기서 인걸들이 일어나 나라가 혼란에 빠지기 시작하였다.

이 때, 투후 김일제도

한나라에 잡혀 온 훈족(흉노족) 5만명을 거느리고, 

지금의 산동성 하택시 성무현에 '투후성'을 쌓고

<투후국>을 세우니,

이를 "투성(秺城)" 또는 "김성(金城)"이라 불렀다.

 

산동성 "금성(金城)"은 원래 <단군조선> 지역이었음으로

<투후국>은 수십년 동안 성장하여 

산동성,강소성,절강성 및 회하(河淮). 장강(長江) 및 지나대륙 동남해안 지역,

해남도까지 그 영역을 이루었다. 

 

이 이유로 하여

고려-조선 시대까지 이 지역은 "신라방(신라사람들이 사는 지역)"으로 남아있었고,

최근 상해 앞 바다 주산열도(舟山列島)에서

신라초, 고려두산 등이 확인되었다.

 

이곳이 <삼국사기>에 나타나는 '천문관측 중심지' <대륙신라>로 보고있다.

 

<투후국(대륙신라)>은 수십년 동안 지나대륙에서 번성 유지했었다.

 

그러다 김일제의 후손과 이종4촌 뻘이 되는 '왕망'이란 사람이

BC 23년 '한나라에 반역을 했다'는 한나라의 핑개(음모)로

한 나라에 의해 ''왕망'은 죽고

<투후국(대륙신라)>은 흩어지게 된다.

 

이 때 까지 <대륙신라(투후국)> 훈족 유민들은

산동성, 강소성, 사천성, 하남성, 귀주성, 운남성 등

남중국의 깊은 산속으로 뿔뿔이 숨어든다.

 

이 때, 왕족과 귀족들은 말이 서로 통하는

한반도 남부로 대거 이주하게 된다.

그 중, 한 무리의 왕족들이 후한 광무제 건무 18년 임인 3월 계욕날,

한반도 가라(金海)로 들어가 '김수로' 신화를 만들고

<가라국(加羅國)>을 이룩한다.

 

그뒤 끝까지 버티던 <대륙신라(투후국)>의 왕족 주류세력들은

또한 말이 통하던 포항에 안착해서 <서라벌(경주)>로 들어온다.

이들은 <서라벌>에서 '김알지'의 신화를 만들고

당시 <사로국>을 <신라국(新羅國)>으로 다시 태어나게 한다.

 

'김알지' 세력이

지금의 포항-경주 지역에 정착하여 주도적 정치새력이 되자, 

<서라벌>은 <김성(金城)>으로 불리게 되었고,

 <사로국>은 <신라국>으로 바뀌어 졌던 것이다.

 

'김알지' 자신은 왕이 되지는 않았지만

그 세력은 막강하여

그의 아들 '새한"(문무왕의 15대 조)이 왕위에 오른 후,

 <사로국>이란 국호를 <신라국(新羅國)>로 바뀌었고,

수도 <서라벌>도 

그들이 두고온 고향 <금성(金城)>으로 바꿔 부르게 된 것이다.

이로서 신라 김씨 왕들은 그들의 선조 '새한왕'을 

'신라태조 <성한왕>'으로 부르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같이 '김일지' 와 '김수로'는

거의 동일한 신화와 동일한 김씨(金氏)가 된 것도,

훈족(스키타이족) 출신 투후 '김일제'의 후손들이었기 때문인 것이다.

 

이런 연유로 하여 

<삼국사기>와 <환단고기> 기록의 '천문관측지'를

서울대 천문학과 박창범 교수팀이

첨단과학장비로 제현해 본 결과

이상하게도 <상대신라>의 '천문관측 중심지'가

지나대륙에 나타났으니,

이를 우리는 <대륙신라>로 표기하고 있는 것이다.

 

이 <대륙신라>는

신라 김씨왕조의 조상 투후 김일제가 건국한 <투후국>으로 보는 견해이다.

 

이 견해로 보면,

박창범 교수팀이  <삼국사기> 기록 '천문관측 중심지'를 시물레이션한 결과가 

<상대신라> 천문관측 중심지는

지나대륙에서 나타났고,

<하대신라> 천문관측 중심지는

한반도 남동부에 나타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인 것이었다.

 

(사진)  서울대 천문학과 박창범 교수팀의 "삼국사기에 기록된 <신라>의 천문관측 중심지". 

- <상대신라>는 지나대륙에 그 중심지가 나타나고,

- <하대신라>는 한반도 남동부에 그 중심지가 나타난다.

https://youtu.be/noFZgCH8888?si=tJ9yvp_TT8-W4tEs

 

중조(中朝) 사서(史書) 기록 중심 <대륙신라>

https://youtu.be/OyDYuUX-2Js?si=8okk8u-ll6DwbL0o

 

 

 

https://youtu.be/xiogPVHnS4I?si=Owg3UGAvP7ynMiAX

 

(사진) <투후(秺侯)>의 후손으로 기록된 문무태왕릉 비(아깝게도 아랫부분만 남았다)

 

(사진)<투후(秺侯)>의 후손으로 기록된 문무태왕릉 비문 탁본(서울대 규장각 소장)

 

(사진) 신라 김씨왕조의 조상 투후 김일제 부마(附馬)동상(중국 서안).

- 기록의 <부마(附馬)>는 한 나라 공주와 혼인한 "왕의 사위" 작위 이름인데?

- 중국공산당정부는 <부마(附馬)>를 "말몰이꾼"으로 비하 해석하고 있다.

- 이는 무식의 극치로서 <천자국 조선 역사>에 대한 <지나 역사>의 열등의식 때문이다. 

 

(사진) 신라 및 가라 김씨 왕조의 조상 투후 김일제의 능침과 표지석을 뽕밭에 방치하고 있다.

 

(사진) 당 나라의 <양직공도>에 그려진 '한반도 인'의 표현 그림.

-  그림에서 고구려인, 백제인과 다르게 신라인은 스키타이족(훈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아랍 기록에 의하면 신라는 지나대륙에 있었다.

신라 공주가 패르시아 왕자와 결혼을 했다.

 

 

https://youtu.be/REYSlu-ObZY?si=wq4NVsCjBOlPZKs_

 

 

 

또한,

훈족(흉노족), 부여 기마민족의 특징적 유물,

동복(휴대용 구리로 만든 솥) 출토지역으로 고고학적 판단을 해 보면, 

 

훈족(스키타이족) 후손들이.

"포항"으로 한반도에 상륙헤 "경주(서라벌)"에 안착한 <신라(新羅)>,

"김해"로 상륙해 낙동강을 거슬러 올라간 <가라(駕洛)>,

 

이들은 북방 기마민족 훈족(스키타이족)으로

흩어지고 야생화 되어가던 고조선(칸국+배달국+조선국)인들이

한반도 남부 고향으로 다시 회귀(回歸)한

'한민족 회귀의 역사'것으로 판단된다.

 

원래 이들은 같은 피가 흐르는 같은 고조선 민족이었음으로

풍속과 말(언어)가 동일하여서 쉽게 혼화 될 수 있었고, 

한반도 남부 김해(가라), 경주(신라)에 쉽게 정착할 수 있었던 것이다.

 

(사진) 부여 기마민족 훈족의 상징 유물  <휴대용 구리 솥(銅鍑)>,

- 기원전 400년 경.

 

(사진) 신라(新羅國)의 <휴대용 구리 솥(銅鍑)> - 경주 금령총 출토.

--  부여 기마민족 훈족의 상징 유물 <휴대용 구리 솥(銅鍑)> 싣고 가는 '신라 기마인 토기'

 

(사진) 가라(加羅國)의 <휴대용 구리 솥(銅鍑)> - 김해 대성동 고분 출토.

-  부여 기마민족 훈족의 상징 유물 <휴대용 구리 솥(銅鍑)>.

 

 

https://youtu.be/rVDmlbMf3Yg?si=6slzgWQ7_vTZHIO1

 

https://youtube.com/shorts/59arS0urh28?si=M5RCZLUfIolv846t

 

 

https://youtu.be/TQ_uQmgzqEw?si=cXRQprNEGqlrxdpE

 

 

 

 

 

<미안합니다><고맙습니다><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