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풍속 <삼국지 위지 동이전(魏志 東夷傳)>
진나라 시왕이 황하남쪽을 통일하기 전까지
지나(중원)땅 및 산동반도, 황하 및 회하,장강 유역에는
고대조선(환인 칸국+환웅 배달국+단군 조선국)의 양지(營地) 였었다.
한 고조 유방이 기원전 206년 중원을 다시 통일하고
한 나라를 세웠고 한 나라 무제 때 부터
고대조선을 북방으로 밀어 부치기 시작했다.
서기220년 후한(後漢)이 망하고,
화북지방에는 위나라,
강남지방에는 오나라,
사천지방에는 촉나라가 삼국으로 갈라졌다.
서기263년 위나라는 촉나라를 멸망시켰고,
서기265년 위나라의 권신 사마씨(사마염)는 재위를 찬탈하여
서진(西晉/263~316)을 세웠다.
서진은 서기280년 오나라를 멸망시켜 지나 중원을 재통일 했다.
후한이 망하고 서진이 중원을 재통일 할 때까지 60년 기간의 역사기록을
서진(西晉)의 학자 진수(陳壽/233~297)가
위나라를 본기로, 촉나라와 오나라를 열전으로 하여 기전체로 삼국지를 편찬했는데,
이것이 지나(支那) 24사 중 하나의 역사책으로서
조조, 유비, 손권이라는 영웅 호걸들의 활약상을 흥미진진하게 그린
연의 삼국지(이야기 삼국지)의 시대배경이 된 것이다.
연의 삼국지는 원(1271~1368) 대에 크게 유행했느데,
명(1368~1644)대에 "나관중"이 다시 소설로 엮은 것이다.
서진(西晉)의 학자 진수(陳壽/233~297)가 쓴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는 3세기 이전
조선의 귀중한 고대사 일부가 실려 있다.
그 내용 일부를 해석하면 아래와 같다.
<조선과 부여>
부여(夫餘)에 있는 큰성(長城)은 북쪽으로 가물가물 검어 끝이 없다.
천리 남쪽으로는 고구려(高句麗)와 접해있고,
동쪽으로는 상루(相婁)와 서로 맞 닿아 있고,
서쪽에는 선비(鮮卑)가 있고,
북쪽에는 아무르(弱水)와 접해 있다.
(夫餘在長城支北去玄 千里南與高句麗東與相婁西與鮮卑接北有弱水),
사방 2천리에 팔만호에는,
그 백성이 흙으로 집을 짓고,
궁실과 창고 뢰옥(감옥)이 있으며......
땅에는 오과가 자라지 못하지만 오곡은 적당하다.
(方可二千里戶八萬其民土著有宮室倉庫牢獄.....地宜五穀不生五果)
군왕아래 짐승 이름의 여섯 관직이 있는데,
마가, 우가, 구가, 견사, 사자(대사자) 등이 있었다.
(有君王皆以六畜名官有馬加牛加 加狗加犬使大使者使者),
고을(邑)과 부락(落)에는 족장(豪)과 백성(民)이 있고
집(戶)에서는 아래에 종(奴僕)을 두었다.
(邑落有豪民名下戶皆爲奴僕).
사방으로 지방(四出道)에는 별도의 여러 지방 관직(諸加)과
그 수장(主)를 두었고,
(諸加別主四出道)
큰 수장은 수 천 호를,
작은 수장은 수 백 호을 식읍으로 관리했고,
먹을 때는 굽 높은(俎豆) 그릇를 사용했다.....
(大者主數千家小者主數百家食飮皆用俎豆).....
나라에서는 '정월(설)'에 하늘에 제사(祭天)를 지내고
나라에서 큰 대회를 열어
마시고 먹고 노래하고 춤추기를 여러날 동안 계속하였는데
이름하여 '영고(迎鼓:정월대보름)'라 하였다.
이 때에는 형옥을 깨고 나라 안의 죄수들을 풀어 주었다.
(正月祭天國中大會連日飮食歌舞名曰迎鼓於時斷刑獄解囚)]
이나라 백성은 흰 옷을 숭상 즐겨 입었다.
(徒在國衣尙白)....
살인자는 사형시키는 엄한 형벌이 있고
그 가족은 몰수하여 노비로 삼았다.
(刑嚴急殺人者死 沒其家人爲奴僕)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12배로 물리게 하고,
남여가 음행을 하거나,
부인이 투기로 살인을 하면,
심한 증오와 투기로 죽인 시체를
나라의 남산 위에 썩어 없어질때까지 두었다'''''''
(竊盜一責十二 男女淫婦人妬 皆殺之 尤憎妬已殺尸之國南山上至腐爛)]
형이 죽으면 형수를 처로 삼는데
흉노(匈奴)와 같은 풍속이다.
(兄死妻嫂與匈奴同俗)
소를 잡아 그 굽으로 점을 쳐 길흉을 가리는데
굽이 벌어지면 흉하고
굽이 합해지면 길하다.
(殺牛觀蹄以占吉凶蹄解者爲凶合者爲吉).
적이 생기면
여러 벼슬아치(諸加)들이 스스로 전쟁에 참여하고
지나는 마을은 식량과 음식을 부담한다.
(有敵諸加自戰下戶俱擔糧飮食之).
여름에 사람이 죽으면 얼음을 쓰고
백 여 사람을 순장하여 죽이는데.....
(其死夏月皆用氷 殺人殉葬多者百數) ....
옛 부여 풍속에서 홍수나 가뭄으로 오곡이 익지 않으면
그 허물을 번번히 왕에게 돌려
혹 당장 바꾸자고 말하거나,
혹 당장 죽이자고 말한다.
(舊夫餘俗水旱不調五穀不熟 輒歸咎於王或言當易或言當殺).
고구려는 요동(지금의 조하)의 동쪽 천리에 있는데,
도읍이 환도(丸都)이고
그 아래 사방 천리에 3만호가 되었다.
(高句麗在遼東之東千里..... 都於丸都之下方可二千里戶三萬).
큰 산과 깊은 골짜기가 많고 들과 못이 부족하고,
좋은 밭이 없어 힘
써 일해도 열매로 배를 채우기 어려워 굶는 족속이 있다.
(多大山深谷無原澤 .... 無良田雖力佃作不足以實口腹其俗節食)
사람들은 성질이 훙하고 급하며 갓 쓰기를 좋아한다.
(人性凶急喜冠)
그 나라에 왕이 있고 궁성에 있으며
제상과 대등한 노포자(盧沛者) 고추가(古雛加)가 있고,
벼슬로 주부, 우대, 승, 사가 있어,
높고 낮은 가문을 옷으로 표시하여
존경과 하대로 구별이 있어 등급이 ㅇㅆ고
말은 동이족의 옛 말이다.
(其國有王其官有相加對盧沛者古雛加主簿優台丞使者 衣先人尊卑各有等級東夷舊語).
5부족에는 연노부, 절로부, 순노부, 관노부, 계루부가 있고,
본래 연노부가 왕이 되었으나
점차 약해져 지금은 계루부가 대신한다.
(有五族有涓奴部絶奴部 順奴部灌奴部桂婁部 本涓奴部爲王稍薇弱今桂婁部代之)...
여러 대가집에서는 집사(使者)를 두고
가문의 이름을 옷으로 표시하여 왕에게 알렸다.
(諸大家亦置使者 衣先人名皆達於王)....
대가집이 아닌 소작인들은 놀고 먹는 자 만을 취하여,
그 아래에서 멀리서 쌀과 양식, 소금과 고기의 공급을 담당하는
장사를 하게하였다.
(大家不 佃作坐食者萬餘口 下戶遠擔米糧魚鹽供給之)....
죄가 있으면 벼슬아치들이 판결하여 죽이고
그 처자식은 몰수하여 노비로 삼았다.
(有罪諸加評議便殺之沒入妻子爲奴婢)....
집집마다 개인의 작은 창고를 두고
이름을 부경(孚京)이라 하였다.
(家家自有小倉名之爲 孚京)....
10월에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나라에서는 큰 연회를 여는데,
이름을 동맹(東盟)이라 하였다.
(十月祭天國中大會名曰東盟) .....
혼인시키는 풍습을 보면,
말로서 먼저 정하고
여자집 큰체 뒤에 작은체(小屋)을 지어
이름을 서옥(壻屋)이라 한다.
(其俗作婚姻言語已定 女家作小屋於大屋後名壻屋)
저녁에 사위가 여자집 밖에서 자신의 이름을 알리고
무릎꿇고 절하며 '딸과 살게 해 주십시오' 하기를 세번 되풀이 하면,
여자집 부모가 듣고 작은체에 잠자리를 마련하고
돈과 비단을 거두고
세월이 지나 자식을 낳아 크게 자라면
부인을 본집으로 되려간다.
(壻暮至女家戶外自名 拜乞得就女宿如是者再三
女父母乃聽使就小屋中宿 傍頓錢帛至生子已長大乃將婦歸家)
동옥저는 고구려 개마대산(백두산)의 동쪽 바닷가에 위치하고 있는데
지형이 동북쪽은 좁고 서남쪽은 길다.
(東沃沮在高句麗蓋馬大山之東濱大海而居 地形東北狹西南長)......
호수는 오천이나 큰 군왕은 없고 읍락마다 장수가 있고,
언어는 고구려와 같으나 때때로 조금식 다르다.
(戶五千無大君王世世邑落各有長帥 其言語與句麗大同時時小異).....
옥저의 여러 읍과 부락 경계의 수장들은 스스로 삼로(三老)라 칭하고
고구려에서는 그 중 대인(大人)을 다시 사자로 삼고 .....
조세와 부역으로 가죽, 면포, 고기, 소금, 해산물을
천리 길을 등에 지고와 바치도록 했다.
(沃沮諸邑落渠帥皆自稱三老)......
(句麗復置其中大人爲使者.....租賦貊布魚鹽海中食物千里擔負致之)..
미녀를 대려와서 천첩으로 삼았는데
종과 같이 대접했다.
(送其美女以爲婢妾遇之如奴僕)
음식과 거처 의복과 예절은
고구려와 비슷하다.
(食飮居處衣服禮節有似句麗)..
여자 십세가 되면 서로 혼인 할 것을 정(設)하고 허락하여
사위 집에서 엽접하여 기르다가
부인을 삼을 만 한 성인이 되면
다시 여자집으로 돌려 보내고
여자집에서 요구하는 혼수,
그 혼수를 치루면
다시 사위집으로 되돌아 온다.
(女年十世已相設許壻家迎之長養 以爲婦至成人更還女家女家責錢錢畢乃復還壻)
장례는 길이가 십 여장이나 되는 큰 목곽을 만들고
1개의 뚜껑을 열도록 만들고
새로 죽은 사람이 있으면 가매장했다가
그 시신의 살갖과 살이 다 썩도록 하여
뼈를 추려서 곽에 넣는다.
(其葬作大木槨長十餘丈 開一頭作尸 新死者皆假埋之才使覆形皮肉盡 乃取骨置槨中擧)
가문에서는 공동의 한 봉분(곽)을 가지고 있었고
살아 있을 때 모습으로 목상을 만들어서 죽은사람이 따르도록 했다.
(家皆共一槨 刻木如生形隨死者)
관구검이 고구려에 처들어 오자
고구려 왕(동천왕)은 궁에서 옥저로 달아났고,
군사들이 따라 옥저로 들어가 싸웠다.
(丘儉討句麗句麗王宮奔沃沮遂進師擊之)
옥저의 읍과 부락이 파괴되고
머리를 잘리거나 포로가 된 자가 삼천여급이나 되었다
(沃沮邑落皆破之斬獲首虜三千餘級)
궁(고구려 동천왕)이 북 옥저로 달아났는데
북 옥저는....... 상루(相婁)와 접하고 있었고
상루는 배를 타고 노략질 하기를 좋아해서
북옥저는 그들을 두려워 했다.
(宮 奔 北沃沮 北沃沮.... 相婁接相婁喜乘船寇 北沃沮畏之)
여름에는 언제나 가파른 산의 깊은 굴에서 지켰고
겨울이 되어 얼음이 얼어서 뱃길이 막히면 촌락으로 내려와 살았다.
(夏月恒在山巖深穴中爲守備冬月氷凍船道不通乃下居村落)....
현토태수 왕기를 보내어 따라가 치게 하니
궁(동천왕)은 다 하였다(더 이상 도망할 곳이 없었다)
(王 別遣追討宮盡)
예족(濊族)는 남으로는 진한(진조선),
북으로는 고구려와 옥저에 접하고
동으로는 큰 바다에 이르러니
지금 고대조선의 동쪽 모두가 그 땅으로 2만호가 된다.
(濊南與辰韓北與高句麗沃沮接東窮大海 今朝鮮之東皆其地也戶二萬)
옛날 '고대조선 8조'를 만들어 가르치니
도둑질하는 백성이 없어 집집마다 문이 없었다.
(昔(箕子)旣適朝鮮作八條之敎以敎之 無門之戶閉而民不爲盜)
그 후....... 진승 등이 천하에 일어나 진(秦)에 반란을 일으키니
연, 제, 조 나라 백성들이 조선 땅으로 수만명 피해갔다.
(其後......陳勝等起天下叛秦燕齊趙民避地朝鮮數萬口)
연 나라 사람 '위만'이 상투와 한복(夷服)을 입고 와서
나라를 뒤집고 (번조선)왕이 되었다.
(燕人衛滿 結夷服復來王之)
한 무제가 이를 쳐 없애고
번조선을 나누어 사군을 삼았다.
(漢武帝伐滅朝鮮分其地爲四郡)
이른 일을 스스로 받아들인 고로
한 별초의 대군장이 없어 한이 오래가지 못했다.
(自是之後胡漢稍別無大君長自漢巳來).
그 벼슬에 후, 읍, 임금 삼로가 아래 마을의 주인으로 통하여
그 노인들이 말하기를 자신들은 고구려와 동족이라 하였다.
(其官有侯邑君三老通主下戶其耆老舊自謂與句麗同種)
인성이 착하고 어질어 (원의:愿懿) 기욕이 적고 염치가 있으며.....
언어와 법속은 고구려와 거의 같다
(其人性愿懿少嗜欲有廉恥....言語法俗大抵與句麗同)
...산천을 중히 여겨 산천을 각각 나누어 진 것을 속여서 얻거나
서로 건너 다닐 수 없다....
(..重山川山川各有部分不得忘相涉入)....
동성간에는 혼인을 하지 않으며
(同姓不婚)
기피하는 것이 많아서
(多忌諱)
질병으로 사망하면
(更作新居)...
구택은 미련없이 버리고
새로운 집을 짓고 산다
(舊宅 輒捐棄)
10월에 하늘에 제사 지내고,
밤낮으로 술을 마시고 노래와 춤을 추고,
이를 이름하여 '무천'이라 했다
(十月節祭天 晝夜飮酒歌舞 名之爲舞天).....
그 땅에서 단궁(단군 활)이 나고
그 바다에서는 반어피(물표범 가죽)가 나며
표범의 무늬 같은 토지가 넉넉하며
또한 과하마가 나서 한의 환제 때 그것을 바쳤다.
(檀弓出其地 其海出班魚皮 土地饒文豹 又出果下馬漢桓時獻之)
한(韓)은 대방의 남쪽에 있는데
동서는 바다로 막혔고
남은 왜와 접하고 사방이 가히 4천리에 이른다
(韓在帶方之南東西以海爲限南與倭接方可四千里)
3종이 있어서 마한(맑조선), 진한(진조선), 변한(번조선)이라고 하는데
진한은 옛 진국(진조선)이다
(有三種一曰馬韓二曰辰韓三曰弁韓辰韓者古之辰國也)
마한은 서쪽(요서지방)에 있고 백성은 씨앗을 심어 농사를 짓고
뽕으로 누에를 길러 면포(비단)을 만들 줄 알고(홍산문화에서 옥누에 출토)
(馬韓在西其民土著種植知蠶桑作䛲布)
각각 늙은 장수가 있는데
스스로 이름하기를 큰자는 '신지'라 하고
다음은 '읍차'라 하여
산과 바다 사이에 흩어져 있었으나 성곽은 없다
(各有長帥大者自名爲臣智其次爲邑借在山海間無城郭
보통 50여 개의 나라가 있었는데,
대국은 만여집 소국은 수천집으로서 총 10만여 호가 있었다
(凡五十餘國大國萬餘家小國數千家總十萬餘戶).....
초옥을 지어서 거처했는데
토실이 무덤과 같았다(땅을 파서 방을 만들고 지붕을 풀로 덮었다)
(居處作草屋土室形如塚)
그 집에는 (밑에서)위로 출입하였는데,
늙고 젊고와 남과 녀의 구별없이 같이 사용하였다
(其戶在上擧家共在中無長幼南女之別).
장례에는 관은 있으나 곽은 없었고,
소와 말을 탈줄 몰랐다
(其葬有棺無槨不知乘牛馬牛馬).....
나이 어리고 용감하고 건강한 자를 (뽑아) 성곽 쌓는 일을 시키는데
모두 등가죽을 뚫어 큰 새끼줄로 꿰매고
또한 장허목(지게)을 그곳에 꽂아 일을 시켰다.
(....使築城郭諸年少勇健者皆鑿脊皮以大繩貫之又以丈許木揷之)...
5월에 씨를 뿌리고 나서 귀신에게 제사 지내고
사람들이 모여서 가무음주로 낮과 밤을 쉬지 않았다
(常以五月下種訖祭鬼神 聚歌舞飮酒晝夜無休).....
십월에 농사가 끝나면 또한 이와 같이 하였다
(十月農功畢亦復如之) ....
각 국읍에서는 한 사람의 제주를 세워
천신에게 제사 지내는데 이름을 천군이라 했다
(國邑各立一人主祭天神名之天君)....
이름을 '소도'라 하고 큰 나무를 세워 방울과 북을 걸고 귀신을 섬겼다
도망자가 거기에 이르면 돌려 보내지 못했다(쫓아내지 못했다. 그 안에서 잡아가지 못했다)
(名之爲蘇塗立大木縣鈴鼓事鬼神諸亡逃至其中皆不還)......
진한(진조선)은 마한(맑조선) 동쪽에 있는데.....
처음에는 여섯나라였다가 점차 나누어져 열 두 나라가 되었다.
(辰韓在馬韓之東.....始有六國稍分爲十二國)
변(번조선) 진(진조선) 또한 12개의 나라가 있고
여러 마을에는 각각 거수가 있어서 큰 자를 '신지'라 했다
(弁辰亦十二國又有諸小別邑各有渠帥大者名臣智)......
변한(번조선)과 진한(진조선)을 합하여 모두 24개의 나라가 있는데
큰 나라는 4~5천가,
작은 나라는 6~7백가에 이르러 모두 4 ~ 5만호가 되었다.
(弁辰韓合二十四國大國四五千家小國六七百家總四五萬戶)
시집가고 장가 들 때는 우마가 끄는 가마를 타고 남여유별의 예속이 있었다.
(乘駕牛馬嫁娶禮俗男女有別)
사람이 죽으면 큰 새의 깃털로 (장식하여 그 영혼이) 하늘에 날아오르기 쉽도록 하였다.
(以大鳥羽送死其意欲使死者飛揚)
나라에서 생산되는 철은 한(韓族), 예(濊族), 왜(倭族)의
여러 시장에서 사들여 모두 중국의 돈처럼 사용하였다.
(國出鐵韓濊倭皆從取之諸市買皆用鐵如中國用錢)....
노래하고 춤추고 술 마시기를 좋아하고,
그 형태가 거문고와 같은 현악기와 곡이 있어서 이를 켜고 또한 즐겼다.
(俗喜歌舞飮酒有瑟其形似筑彈之亦有音曲)
아이가 태어나면 그 머리를 돌로 눌러 머리를 좁게 만들고자 했고(짱구를 만들고자 했고)
지금의 진한(진조선)사람 모두가 짱구이고 남녀의 모습과 문신은 왜와 닮았다
(兒生便以石壓其頭欲其褊今辰韓人皆褊頭男女近倭亦文身) ...
그 풍속에서 길에서 사람이 마주치면
그곳 사람이 길을 양보하였다
(其俗行者相逢皆住讓路)
변진(번조선)은 진한(진조선)과 더불어 섞여 살아서 성곽이 없고,
의복과 거처는 진한(진조선)과 같고, 언어와 법속도 서로 비슷했다.
귀신을 섬기고 제사지내는 방식은 달랐다.
모든 집에서는 벼를 길렀다.
(弁辰與辰韓雜居亦有城郭衣服居處與辰韓同言語法俗相似祠祭鬼神有異施杷皆在戶)
서쪽 독로국은 왜(倭)와 접경을 이루고
12국에는 역시 왕이 있었다
(西其瀆盧國與倭接界十二國亦有王)
모든 사람들은 간단하고 깨끗한 큰 옷(두루막)을 입었고
머리는 청결하게 자르지 않고
가는 베로 폭을 넓게 만들었고,
법속은 특이해서 엄하고 높았다.
(其人形皆大衣服결 絜淸長髮亦作廣幅細布法俗特嚴峻.)
(사진) 단군조선 <아사달> 문양의 <뾰쪽밑토기솥(鼎)> - 산동지방 출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