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5. 19. 07:02ㆍ카테고리 없음
산지가 많은 한민족의 땅은 달구지(수레)가 쉽게 다닐 수가 없었다.
그래 영민한 한민족이 산지 좁은 길 운반용구로 <지게>를 발명하게 된 것이다.
지나(China)의 <위지 동이전>에서 <지게>를 <장허목(丈許木)>이라 했다.
지나(China)에서 가지지 못한 동이족 맥(貊),예(濊)족의 <지게(丈許木)>를
이렇게 비하(卑下) 시켜 평했다.
"건강하고 용감한 젊은 사람들이 성곽 쌓는 일을 하는데,
등 가죽에 새끼 맬빵를 꿰매고 지게(장허목)를 지고 일을 한다."
(....使築城郭諸年少勇健者皆鑿脊皮以大繩貫之又以丈許木揷之)...
이 내용은 <지게>를 한시도 내려 놓지 않고 성곽 쌓는 일에 전념한다. 는 표현이다.
<지게>는 좁은 산길에서 운반 용구로서 가장 유용하고 우수한 한민족의 발명품이다.
그래서 고대조선(환인 칸국+환웅 배달국+단군 조선국), 대부여,
고구려 성곽의 견고함과 우수함을 지게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이다.
<지게>의 모양, 크기 및 용도는
지역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조금씩 다르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우선 높이는 <지게>를 지는 사람의 키 높이에 맞추기 마련이고,
평야 지방 <지게>는 목발이 높고 넓은 편이나
산지 지방 <지게>는 좁고 목발이 낮은 편으로 편리하게 만든다.
그것은 평야 지방에 비하여 산지 지방의 길이 좁고 가팔라서
돌 뿌리나 풀 따위에 걸려서 넘어질 위험이 높기 때문에
목발이 짧고 좁은 <지게>를 만들어 쓴다.
전라도 평야 <지게>는 목발이 높고 폭도 넓으며,
지게 지는 사람 쪽으로 구부려 만든 점에서
평야 <지게>의 특징을 보인다.
이에 비하여 강원도 산골 <지게>는 목발이 짧고 폭이 좁다.
<지게> 만드는 재료는,
가지가 약간 위쪽으로 뻗어나간 소나무 2개를 같은 모양으로 잘 다듬어 세우고,
위쪽은 좁고 아래쪽은 벌어지도록 사이사이에 3~4개의 '새장'을 끼우고
'탕개목'으로 '탕개줄'를 죄어 고정시킨다.
위 아래로 '멜빵(밀삐)'를 걸어 어깨에 멜 수 있도록 한다.
'새장'이 등에 닿는 부분에는 볏짚으로 두툼하게 짠 '등태'를 만들어 단다.
<지게>를 세울 때에는 '지게작대기'를 머릿장에 걸어
안전한 삼각발이 되도록 하여 세운다.
(사진) 한민족의 <지게> 부분 명칭.
한인족 <지게>의 용도.
<지게>는 나무꾼, 농어민, 도시짐꾼이 물건 이동이 필요하면
어디에서 나 사용하는 한민족이 발명한 간단하고 우수한 개인 운반용구 이다.
<지게>의 사용에서 장작, 나뭇짐 등 큰 덩치 짐을 질 때는 홑<지게>를 사용하였으나,
흙, 자갈, 거름(두엄), 농산물 등 비교적 작은 덩치 짐은
'바소쿠리'를 부착시킨 <바지게>를 사용하였다.
‘바소쿠리’는 싸리나무 줄기 또는 조리대로 소쿠리 모양으로 촘촘하게 엮어서,
<지게>위에 얹어 사용하는 것이다.
‘바소쿠리’는 달구지가 들어갈 수 없는 좁은 산간 논밭 길에서
‘바소쿠리’를 붙인 <바지게>로 거름, 농산물을 등짐으로 져 나를 수 있는
편리한 농기구였다.
(사진) 싸리나무로 만든 <바소쿠리>.
(사진) 바소쿠리를 붙인 <바지게>.
(사진) 100년 전, 소나무 낙옆 갈비를 <지게>로 지고 가는 서울 북악 노인.
(사진) 100년 전 , <지게>로 지고 가는 땔감 나무.
(사진) 100년 전 ‘옹기’를 <지게>로 지고 가는 옹기.
한겨레 <지게>의 종류.
<지게>종류에는 제가지<지게>, 옥<지게>, 쪽<지게>, 바<지게>,
두구멍<지게>, 켠<지게>, 거<지게>, 쇠<지게>, 쟁기<지게>, 모<지게>,
부<지게>, 물<지게> 등이 있다.
1, 제가지<지게>는 ‘가지가 자연히 뻗어 나간 소나무로 짜 맞춘 <지게>라는 뜻으로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지게>는 모두 이에 속한다.
2, 옥<지게>는 ‘가지가 굽은 <지게>’라는 뜻으로 참나무로 만드는데
가지의 중간 부분이 위쪽으로 구부려 만들어진 <지게>를 말한다.
강원도 산간 지방에서 섶 나무나 꼴 풀 따위를 져 나르는 데 쓴다.
물매(경사)가 워낙 된(높은) 곳에서는 사람이 <지게>를 지고 걸을 수 없는 까닭에
'목발'을 두 손에 쥐고 끌어내리기 위해 가지를 구부린 것이다.
가지는 불에 구워가며 조금씩 구부려 만든 것이다.
3, 쪽<지게>는 예전의 등짐장수들이 이용한 간단히 만든 <지게>로서,
몸통에 구멍을 뚫고 가지를 끼워 넣은 것과 붙이는 것 2 종류가 있다.
붙이는 것은 전라북도 서부 일대가 본거지이다.
이 일대는 평야 지방으로서 지게 감 나무를 구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일지기부터 이러한 <지게>를 만들어 썼다.
4, 바<지게>는 주로 강원도 영동 지방에서 영서 지방으로 태백산맥을 넘어
해산물을 팔러 다닌 사람이 쓴 <지게>로서,
가지가 없는 <지게>에 짐을 잡아 맨다.
이 <지게>는 작대기 또한 특이하여
위쪽에는 노치를 짓고 아래에는 쇠못을 박아 만든다.
이 쇠못은 겨울철 미끄럼 방지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5, 두구멍<지게>는 가지 구멍이 위아래 2개 있는 <지게>로서
짐의 종류에 따라 가지를 아래 위로 맞추어 끼워 사용한다.
6, 켠<지게>는 지게 감 하나를 톱으로 두 쪽으로 잘라서 나누어 만든 <지게>를 말한다.
7, 거<지게>는 목발(동발) 부분이 거의 없는 짧은 <지게>로서
좌우 양쪽에 길마(질매) 만 걸고 무거운 돌이나 긴 나무 따위를
마소의 힘을 빌어 나르는 데 쓰는 <지게>이다.
8, 쇠<지게>는 쇠로 만든 <지게>이다.
9, 쟁기<지게>는 논 밭을 가는 쟁기를 지고 다니는 <지게>이다.
10, 모<지게>는 모심기 할 때 모를 나르는데 쓰는 <지게>이다.
11, 부<지게>는 해안에서 거둔 어획물을 나르는 데 쓰는 <지게>이다
12, 물<지게>는 물을 길러 나르는데 쓰는 <지게>이다..
이와 같이 <한민족문명>의 발명품 <지게>는 한민족의 생활 필수품으로서,
한반도 전역은 물론, 몽골, 만주, 요동요서, 산동, 대마도, 구주, 일본열도 등지에서 사용하있다.
당시 대부분 한민족으로 구성된 쓰시마(對馬島) 등 일본에는
지금도 <지게>의 한국발음 그대로 ‘시케이’ 또는 ‘지케이’ 이라고 부르고, 또 쓰고 있다.
이렇듯 <한민족문명>의 <지게>가 산지(山) 생활에서
불편함 없이 쉽게 적응하도록 영향을 미친 나머지
성인(神人),현인(眞人)의 은둔생활(隱遯生活)를 도움 함으로 해서,
동양의 과학 등 역사 발전이 서양에 비하여 뒤처진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 한민족의 산성 - 요녕성 <고구려 오녀산성>
- <지게>로 돌을 날라 쌓은 것으로 추정.
(사진) 한민족의 산성 - 고구려 <환도산성(桓都山城)>
- 집안의 수 많은 <피라밋 적석총>
<미안합니다><고맙습니다><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