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노화 영양제 <간>피로에 <흰엉겅퀴(Milk Thistle)>

2024. 5. 16. 17:28카테고리 없음

<엉겅퀴(Thistle)>의 뿌리는 동양의학에서 '대계(大薊)'라 하여 약용한다.

유럽에서 <흰엉겅퀴(Milk Thistle)>를 예전부터 간병치료에 사용헤 왔다.

현대의학에서 <엉겅퀴(Thistle)>에서 추출된 '시리마린(Sylimalin)'을

간세포 보호와 독성 간질환, 만성 간염, 간경변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흰엉겅퀴(밀크시슬>) 추출물을 원료로 한 <실리빈> 정제가 간질환 치료약으로 출시되어,

간세포 보호, 독성 간질환,  만성 간염, 간경변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밀크시슬>은 카르두스 마리아누스(Cardus marianus)라 불리는 <흰무늬 엉겅퀴>로

유럽에서는 간질환 치료에 수세기 동안 사용되었다

<밀크시슬(흰무늬 엉겅퀴)> 추출액에 <실리마린>,<실리빈>은 모두 비슷한 뜻으로 사용된다

<실리마린>은 <밀크시슬>에서 항산화 기능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종류의 화합물을 일컫는다

<실리빈>은 <실리마린> 중에서도 가장 유효한 성분을 말한다

그래서 <밀크시슬>의 함량은 <실리마린> 또는 <실리빈>의 함량으로 표시된다.

 

(그림)  간, 신, 비장을 고쳐주는 <엉겅퀴(Thistle)>에 함유한  <시리빈A> 구조식.

 

(그림)  간, 신, 비장을 고쳐주는 <엉겅퀴(Thistle)>에 함유한   <이소시리빈A> 구조식.

 

<엉겅퀴(Thistle)>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한 물질로 항산화 작용을 하는 <실리마린>은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간세포를 보호하고 해독작용을 한다

또한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켜 손상된 간세포를 재생시키는 역할도 한다

 

<실리마린>을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간 건강과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되는 비타민B군과 복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간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도도 사용되며

기능성 원료로 사용될 때에는 <밀크시슬> 추출물이라고 불린다.

 

최근 여러 종류의 역 노화 영양제 복용으로 혹시 간장,신장,비장이 염려되는 사람을 위해

<밀크시슬(흰무늬엉겅퀴)> 추출물이 새롭게 등장하게 되었다.

 

 

(사진) <흰엉겅퀴(Milk Thistle)>의 새순.

 

(사진) <흰엉겅퀴(Milk Thistle)>의 줄기(전초)

 

(사진) <흰엉겅퀴(Milk Thistle)>의 꽃.

 

(사진) <흰엉겅퀴(Milk Thistle)>의 씨앗(종자).

 

 

우리나라에도 여러 종류위 <엉겅퀴(Thistle)>가 자생하고 있다.

이들 중에는 한국에만 자생하는 한국특산종도 있다.

특히 <고려엉겅퀴>는 '곤드래 나물'로서 한국의 특산종이며

대표적인 '한국의 산나물'이다.

 

<고려엉겅퀴(곤드래)>는 다른 엉겅퀴 처럼 '잎 가시' 없고 부드럽고 순하여,

밥 처럼 먹어 보릿고개를 지켜주었고

또한 간장,신장,비장까지 지켜 주었으니 얼마나 고마운 식물인가?

앞으로도 한국의 산나물 '곤드래'를 늘 먹어 간,신,비를 보호하고 노화도 방지하자.

 

(사진) 한국 특산종  <고려엉겅퀴(곤드래 나물)> 어린 순.

 

(사진) 한국특산 <고려엉겅퀴(곤드래)> 꽃.

 

(사진) 한국에 자생하는 <지느러미엉겅퀴> 줄기.

 

(사진) 한국에 자생하는 <지느러미엉겅퀴> 꽃.

 

(사진)  한국에 자생하는 <긴잎정영엉겅퀴(엉겅퀴 나물)> 

 

(사진)  한국에 자생하는 <바늘엉겅퀴>

 

노화역전 많은량의 영양물질을 복용하다보면 

혹 간에 부담이 간다던지 간이 나쁜 사람들을 위해 

아래 추천 하는 식물성 간 보호치료제(엉겅퀴 추출물)를 추천한다.

 

(사진) 미국 나우푸드의 <시리마린> 800mg

매일 1알싞 복용한다.

 

@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란?

식품에 널리 분포하는 노란색 계통의 색소로

벤젠고리(C6) 2개가 3개의 탄소(C3)에 의해서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물질군이다

예로는 안토시아닌플라본플라보놀이소플라본 등이 있으며

과일 표면잎의 표면꽃 등에 함유되어 있다.

 

@ 활성산소란? 

정상적인 산소(전자 16개)에서 전자를 빼앗긴 산소로서

화학반응에 활성을 띠고 있는 산화물이다.

부족한 전자를 체우기 위해 다른 물질과 결합의 힘(활성도)이 강해서,

항상 불안정 상태로 존재하며 다른 물질과 결합하려는 높은 에너지를 갖는 미친산소이다.

이 미친산소는 성인병과 암을 비롯한

질병과 노화를 일으키는 원인이자 주범 중 하나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슈퍼옥사이드(O2-), 

과산화수소(H2O2), 

히드록시라디칼(OH*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