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중원) 산동성(山东省)에서 가장 동쪽에 자리잡은 해안도시 영성(룽청;荣成)은 한반도 인천항과 평택항에서 배가 오고 가는 곳이다. 위해(웨이하이;威海)와는 40분 거리이고, 인대(옌타이;烟台)와는 1시간30분, 청도(칭다오;青岛)와는 약3시간 정도 거리에 위치한다. 영성(룽청)에는 진시황이 다녀갔다는 성산두(청산터우;成山头)라고 하는 아름다운 일출을 볼 수 있는 곳도 있고 온갖 동물들을 다 볼 수 있는 거대한 신라산(新羅山) 야생동물원도 있다.
그러나, 우리에게 가장 의미있는 관광지는 바로 청해진 대사 장보고기념관이 있는 적산(赤山) 관광구(풍경구)라 할 수 있다. 산동반도 최동단에 위치한 적산(츠산) 관광구(풍경구)는 약12.8평방킬로미터에 이른다.
이곳은 한반도,중원,왜 3국 문화교류의 현장이라고도 란다. 중원 민간 신(神)인 적산명신(츠산밍션;赤山明神)이 있고 지평열도 천태종의 고승인 원인(위엔런;圆仁)이 순례 중 머문 곳이기도 하며, 한반도의 해상왕 "장보고"의 흔적이 곳곳에 스며있는 곳이니 동북아 3국의 역사와 문화가 한 곳에 어우러져 있는 곳인 셈이지만 씁쓸하다. 이 지역 기업체 계산수산집단(斥山水产集团)이 3.2억위엔을 투자해 조성한 풍경구 입구이다. 아담한 산자락에 햇살도 많은 이곳 적산(츠산) 관광구(풍경구)는 한겨울 날씨임에도 밝고 따뜻하다. 풍경구 입구 광장에 서있는 이동차량이 조용하게 서 있다. 연한 하늘색과 빛바랜 벽돌색이 잘 어울린다.
(사진) 지나 당나라가 세워 준 신라인 "장보고" 사당.
- 지나대륙의 마지막 <한민족>거점 산동성 제 나라를 멸망시킨 공로로 받은 사당.
- 별로 명예롭지 못한 곳.
서기 824년(제나라 멸망812년)에 장보고가 세운 법화원 안으로 들어서고 있다.
이곳은 이 지역 최대 최초의 불교사원으로 유명하다. 장보고는 당시 신라 및 왜의 고승들에게도 많은 지원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왜의 승려 원인(위엔런;圆仁)은 구법순례(求法巡礼)를 위해 당나라에 온 이후 이곳 적산(츠산;赤山)에 머물렀으며 법화원 뒤 원인입당구법관(위엔런입당구법관;圆仁入唐求法馆)에 머물렀다 한다.
그는 왜 불교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전하는데 그가 지은 저서인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礼行记)는 동북아 3대 여행기 중 하나(东方三大旅行记之一)로 알려져 있다고 한다. 법화원 한편에는 청해진(칭하이쩐;青海镇) 대사 장보고 공적비가 자리잡고 있다. 그 옆에는 공적비 건립추진위원회 회원 명단과 기념비 성금 회원명단이 있는데, 모두 장(张)씨 성이어서 특이하다. 아마 한국인 장보고 후손들로 보인다. 적산명신(츠산밍션)에서 내려다본 장보고 전기관(传记馆)이다. 적산관광구(츠산 풍경구) 곳곳에 장보고의 흔적이 깃들어 있지만 이곳이야말로 장보고의 모든 것을 볼 수 있는 그런 곳이다. 한눈에 보이는 기념관 모습이 참 아름답다. 회색과 붉은 단청색이 서로 어울리고 주위 초목과도 조화롭게 자리잡은 장보고 기념관으로 가볼 참이다.
'장보고 대사의 도전정신을 기리고 배우고자' 세운 한국청소년연맹의 해상기행 방문기념비가 입구에 있다. 아마도 드라마의 영향이 '해신을 꿈꾸며'라고 했나 보다. 따지고보면 적산명신(츠산밍션)이 바로 바다의 신이 아닌가. 이 지방의 상징적인 신의 존재인 적산명신(츠산밍션)은 신화 속에 살아있고 지금까지 살아있는 神이야말로 바로 장보고가 아닌가 싶다.
노예 상인에 의해 당으로 끌려와 우여곡절 끝에 죽을 힘 다해 이사도 제나라를 멸망시키고 당의 장군이 된 장보고의 성공을
우리 <한민족>은 어떻게 보아야 할까?
당에 충성한 보상으로 당시 동북아 3국의 해상무역을 주도한 장보고를 '神' 으로 부르게 한 것이 그의 영웅적 삶 때문일까? 아니면 당에 충성한 댓가를 높히고자 하는 것일까? 마음이 혼란그러워 진다.
장보고 전기관, 그의 일생을 기념하는 곳이다. 그 입구 길은 아주 소박하다. 화려하지 않고 푸른 나무에 그저 둘러쌓인 건물이어서 마치 어느 한적한 시골 집을 다니러 간 느낌이 든다.
장보고 전기관 담벼락 역시 소담하고 씁쓸하다. 젓산명신(츠산밍션)을 가릴 듯 말 듯 얼핏 햇살을 머금고 빛나는 나뭇가지들도 어찌보니 쓸쓸하다.
입구 맞은 편이다. 신화 속의 명신(밍션;明神)은 복을 주고 사해(四海)를 보우하며 역사 속의 대사(따스;大使) 장보고는 삼방(三邦)의 친교를 맺고 복을 주었다고 한다. 삼방이란 한, 중, 일 3국을 말한 것이다. 삼방 모두에게 복을 준 것일까? 그 복을 중국 혼자 독차지 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장보고 전기관의 휘호가 참 부드러워 보이지만 그 전기관의 기와는 검은색이다. 황색기와는 쓰지 않고 아담하고 소박한 평범한 집의 모습이라는 느낌이 든다.
입구에 들어서면 작은 인공호수가 있고 물고기 먹이를 1위엔에 팔고 있다. 드디어 아담한 집 마당에 들어서니 8미터 높이의 장보고 동상이 우뚝 서서(矗立) 험상굳게 맞이 하고 있다. 햇살을 등지니 그의 얼굴이 더 무서워 보이지만 영웅의 풍모와 당당한 기품이 확연히 전해진다. 의젓하고 당차게 바다를 향해 서 있는 모습이다.
장보고 전기관(张保皋传记馆)에는 장보고에 관한 일대기를 소개하고 있는 곳이다. 그가 당나라로 온 배경이나 무녕군(武宁军)에 참전한 사실, 적산(츠산) 법화원을 건립했으며 청해진(칭하이쩐;清海镇)을 설립했고 해적을 소탕(扫平海盗)하고 노비 매매를 금지했으며 해상무역을 발전했다는 내용들이 설명돼 있다. 대체로 평이한 내용들이나 특이한 점은 '이사도의 난'을 평정한 점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시다시피 '이사도'는 산동반도에서 고구려 유민의 나라를 세운 이정기 가문의 후예다.
당나라 입장에서는 매우 곤혹스런 반역의 집단이겠지만, 북방에서 내려온 고구려 유민 <한민족>에게는 스스로의 힘으로 무장하고 대단군조선 이전부터 조상 대대로 터전을 마련하고 지켜온 산동지방의 <한민족역사>이기도 하였다.
그래서 당에서 볼 때 장보고는 당나라 최고의 공신이 되겠지만, 대단군조선의 전통을 이어받은 고구려 유민들이 세운나라 제나라를 멸망시킨 장보고의 행위는, <한민족> 기운의 싹을 자른 '반역의 행위'라고 볼 수 밖에 없다.
신라인 장보고가 당시 당나라 무녕군에 참가해 전쟁에서 공을 세운 것이 아이러니일지는 모르나 당시 장보고에게 오늘날의 민족의식이나 국가관을 가지고 았을리는 없을 것이다. 당시 신라는 당과의 동맹국으로 백제와 고구려를 명망시킨 후 이라. 장보고가 당의 무령군에 들어가 고구려 유민 이사도를 친 사실이 어쩌면 당연하고 평범한 생각이 었을 지도 모른다.
그래도 수 천년을 대립해 온 하화족(한족)과 동이족(조선족), 민족의 대립각을 세워온 자존심은 조금이라도 없었을까?
(사진) 장보고 초상ㅡ장보고 기념사업회에서 기증한 장보고 표준인물화.
장보고 동상 앞에 서니 그 큰 역사의 무게가 느껴진다. 장보고의 정신과 출중한 능력이 중국에서 존대받고 있다는 것을 볼 때 이것도 <한민족문명>의 한 장면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장보고 전기관에서 바라본 적산명신(츠산밍션)이다. 넘치는 햇살에 동상의 모습이 마치 신화처럼 흐릿하다.
살아있지 않은 신화와 살았던 인물이 서로 한 방향을 바라보고 있다. 마치 현실과 신화 속을 오가고 있다는 감상은 나만의 것인가. 밍션보다는 낮은 곳에 가깝게 뒷모습을 보여주는 장보고 동상을 보면서 역사 속에서 살아있는 인간의 해신(海神)을 봤다면 지나친 생각일까.
한복을 입고 사진을 찍을 수 있다. 관광상품이겠지만 다른나라에서 우리의 문화를 보면 문득 그리워진다. 환국-환운배달국-대단군조선-고구려/백제/신라/가야와 그 문화를 그대로 담아가고 있는 한국이 말이다.
장보고를 만나고 돌아나오는 길이다. 앞 쪽 두사람은 우리 일행이고 뒤에 느릿느릿 걸어가는 사람은 지나인이다. 장보고에 대한 기억이나 느낌은 서로 다를 것이다. 생각해보고 알아보고자 하는 열정으로부터 기쁨을 느끼는 만큼 장보고는 각자에게 살아있을 것이다. 참 찾고 싶었던 곳을 만나고 와서 그런지 올 한해 기분 좋은 일이 많을 듯하다. 산동성 위해(웨이하이;威海) 지역 영성(룽청;荣成)에 전설로, 역사로, 인물로, 평화로 살아있는 장보고를 만나 볼 것을 추천한다. 앞서도 말했지만, 금빛모래사장을 가진 웨이하이 국제만 해수욕장과 CCTV 어린이셋트장, 도교적 분위기의 섬 유공도, 야생동물원, 진시황의 성산두(청산터우;成山头)까지 3~4일 코스의 한여름 휴가코스로 나쁘지 않다. 위해(웨이하이)를 가게 되면 장보고를 잊지 말고 꼭 찾아보시길 바란다.